일진머티리얼즈의 2021년 1분기까지의 실적과 재무제표도 확인했으니 2020년 기준의 적정 매수가를 구해보면서 마무리합니다. 늘 말씀드리지만 적정 매수가는 투자를 위한 참고자료일 뿐 절대적인 가이드는 아닙니다. 투자에 잘 활용하시기 바라면서.. 계산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이나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진머티리얼즈의 2020년말 자본총계(지배주주지분)은 6,112억원입니다. 잘 기억해서 다음 계산할 때 활용하고, 역시나 2023년까지의 컨센서스 자료도 있으니 적정매수가도 두 가지 다 구해보는 게 좋겠죠?
추정 ROE, 요구수익률 구하기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ROE 추이를 봅니다. 7.80% -> 8.52% -> 7.23% 로 고만고만합니다. 하지만 변화가 있으니 가중평균을 구합니다. 그리고 아마도 최근 회사채 금리보다 낮은 값이 될 것 같아서 적정 매수가도 역산으로 구해질 것 같기는 한데.. 일단 끝까지 구해봅니다.
7.75%로 낮은 값입니다. 나머지 2023년까지의 추정 ROE도 구합니다. 2021년~2023년까지 각각 10.79% -> 14.47% -> 16.04% 로 점차 이익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만큼 향후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는 얘기겠죠? 맨 마지막 16.04%를 선택!!
한은총재님의 강력한(?) 금리인상 발언 때문일까요? BBB- 5년 만기 회사채 금리가 8.29%로 계산을 하면서 봤던 금리 중에 제일 높은 것 같네요. 단기간 금리예측은 어렵겠지만 시장금리가 올라가는 만큼 서서히 오르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그만큼 주식시장의 매력이 떨어질지??(안돼..)
계산을 위한 발행주식수 46,119,835주와 자사주(일진머티리얼즈는 없음) 숫자도 확인합니다.
2차 전지의 핵심고객이라고 할 수 있는 전기차 판매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1~5월 판매량을 보면 2021년 예측치를 상향조정해야된다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곧 2차전지의 핵심 재료인 동박(일렉포일) 매출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고, 이는 매출실적의 상향으로 연결될 겁니다.
구리 가격이 이전보다는 안정을 찾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높아진 가격이 부담이긴 하지만 월등한 판매량으로 커버가 가능하리라 생각합니다. 2021년 2분기뿐만 아니라 2025년까지 전기차 시장의 큰 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니 더 두고 볼 일이겠네요. (아마도 지금의 주가는 전기차 시장의 기대감이 이미 충분히 반영되었지 않나 생각함..) PER도 높아 보이고 주가도 높아 보이는 게 당연하지만 이 두 가지 수치는 주당순이익(EPS)이 개선되면 개선될수록 줄어들 것이라 미래 이익이 얼마만큼 늘어날지가 관건입니다.
미국 주식을 공부할 때 12개월 EPS를 PER에 나누어줬던 기억이 납니다. 그것처럼 순이익이 늘어나는 만큼 말이 되는 실적과 수치로 좋은 회사가 될지도 모를 일입니다. 2차 전지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고 말레이시아 공장에 대한 설비 투자가 더 예정되어 있는 일진머티리얼즈이기에 동업하면서 느긋하게 기다리면 좋은 결과를 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러 가지 상황을 잘 참고하셔서 좋은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