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주의 잡동사니

반응형

이번 한주는 정말 엄청난 변동성에 사람이 어떻게 멘탈적으로 흔들릴 수 있는지 가능성(?)을 볼 수 있었던 기간이었습니다. 사람마다 MDD를 감당하는 정도가 다 다른만큼 일괄적으로 기준을 정할 수는 없지만 아직까지는 버틸만한 것 같습니다.

 

물론 최고 주가대비 MDD가 -25%에 이르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하루에 주가가 7% 빠지고, 8% 오르고 변동성이 어마어마함) 무한매수법을 온전히 잘 해내려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멘탈이란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매수와 매도가 상대적으로 쉽다는 것이지 수익까지의 그 과정이 쉽다고는 할 수 없네요. 그래도 다른 어떤 투자방법보다 시간이 적게 드는 것은 맞습니다만..

 

아무튼 기계가 되어서 주식창을 많이 안보면 안 볼수록, 개인적인 감정이나 판단이 개입되지 않을수록 더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무한매수법을 하기 전에 지난 1년간 주가창을 거의 보지 않은 연습을 잘해 둔덕분에 아직은 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리하지 않은 시드 운영으로 엄청난 하락에도 마음이 편할 수 있었나 봅니다.

 

 

 

계좌현황

계좌현황(8월 4주차)

 

겉으로 보기에는 평온해 보이는 계좌현황이지만 지난 금요일 LABU가 8%가까이 상승하지 않았다면 -15%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었을 겁니다. 아마 다음 주는 진행률이 50%가 넘어서서 5% 매도와 10% 매도가 반반씩 걸릴 것 같네요. 하지만 워낙에 낮은 주가라서 과연 지정매도가에 도달할 수 있을지 걱정은 조금 되네요. 3배 레버리지의 변동성에 기대봅니다.

 

 

 

거래기록

8월 4주차 거래기록 모음

 

주가가 평단가 밑으로 떨어지면 떨어지는 대로 계속적으로 매수가 들어가는 무한매수법의 방법에 근거해서 기계적으로 종가에 매수/매도를 걸어두고 있습니다. 퇴근길에 어플을 열어서 설정을 해두면 다음날까지 굳이 주가창을 보고 있지 않아도 됩니다. 오르면 오르는대로 내리면 내리는대로 괜찮습니다. (라고 쓰고 사람인지라 요즘은 아침에 거래기록을 정리하면서 종가를 보면서 뜨끔뜨끔하긴 합니다.. ㅋㅋㅋ)

 

 

 

LABU 현황

LABU 매수/매도 흐름

 

초록색으로 구분된 4주차의 LABU 종가가 보이시나요? 얼마나 떨어졌던지 LOC 큰수매수가 보통은 평단매수보다 값이 커야 하는데 평단가보다도 내려가는 값이 표시되었습니다. 아직은 10% 매도점보다 한참 아래라서 하루에 1회차씩(총 2주) 매수가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언젠가 튀어 올라서 매도가 되는 날이 오겠죠?

 

애플을 매도한 시드가 슬슬 말라가고 있어서 매수 기간이 길어지면 다른 종목을 또 정리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왕이면 그전에 매도가 되어서 안정적인 VR 적립식으로 얼른 넘어갔으면 좋겠습니다.

 

 

 

TQQQ 현황

TQQQ 매수/매도 흐름

 

한 주간 우리나라도 그랬지만 미국도 썩 좋지는 않았습니다. 나스닥을 대표하는 QQQ를 3배로 추종하는 TQQQ라서 깊이 내려갔다가 올라왔네요. 그래도 다행스러운 것은 미국 시장이 금요일에 반등을 해서 1주일로 보면 그렇게 하락하지 않았다는 점이겠네요. TQQQ를 무한매수법으로 진행하는 것은 아니라서 매수가 되는 대로 나쁘지 않습니다. 평단을 그렇게 많이 낮추지는 못하고 있지만 괜찮습니다. VR 적립식은 10년 뒤를 생각하기에 초반의 평단 차이는 나중에 그렇게 크지 않다고 합니다.

 

대략 1주일에 1,000불정도 매수가 되고 있으니 빠르면 8월 말부터 VR 적립식을 시작할 수도 있겠네요. TQQQ 모으기와는 별개로 Pool에 활용할 한 달 50만원의 시드는 증권계좌로 잘 저장하고 있습니다. 계획대로 잘 되고 있습니다.

 

매주 3배 레버리지의 변동성을 잘 체감하고 있고, 더더욱 주식시장과 멀어지는 좋은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투자 공부를 했었던 시간을 아껴서 개인 여가시간에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가끔은 더 늘어지는 것 같지만.. 뭐 그건 그대로 좋습니다. ㅋㅋ) 다음 주도 매도를 기대하면서 일지 마무리합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