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주의 잡동사니

반응형

적립식 VR 58주차 마감 현황

적립식 VR 58주차 마감 현황

 

이날만을 기다려왔습니다. 실제 계좌는 박살이 나고 있는 것은 팩트!! 꽤 많은 손실이 난것도 팩트!! 3배로 두들겨 맞고 있는 것도 팩트!!

 

하지만 그 어느때보다도 TQQQ를 싸게 살 수 있는 것 또한 팩트입니다.

 

사람마다 감당할 수 있는 아픔의 크기가 다르고 추구하는 이상의 깊이 높이가 다 다르다고 합니다. 당연히 같을 수 없겠죠. 적립식 VR도 마찬가지로 적용이 되겠지만 그래도 확실한 것은 (투자자의 시작 투자금이 다르고, 적립금액이 다를지라도) 큰 틀에서는 같은 전략으로 같은 대응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개개인별로 감당할 수 있을 만큼.. 무리하지 않는 계획을 세우고 시작한 사람들이라면 아마도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 것이 영~~ 무리는 아닐 것입니다. 정신승리라고 생각할 수 있어서 다시 한번 정리를 해봅니다.

 

 

 

적립식 VR 고찰 - 과연 괜찮은 게 맞는가??

-62.4%의 수익률인데 괜찮다고?? 좋다고?? 라고 묻는다면 단연코 뭐.. 괜찮은 것 같은데요?? 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신을 놓아서 그냥 좋게만 생각하는 것 아니냐고 충분히 반문할 수 있겠지만.. 나름의 논리를 펴보면 이렇습니다.

 

 

VR의 계획된 투자기간은 10년이다. 지금은 1년이 조금지난 시점이고 9년이라는 시간이 남아있다. 이제 1/10 진행했을 뿐이다.

 

 

총 10년간 투입될 금액을 달러로 표현하면 초기 투자금 5,000불 + 65,000불(520주 적립금) = 70,000불, 현재 환율 기준으로는 약 9,800만원이네요.

 

10년 동안 1억에 가까운 금액이면 결코 적은 금액은 아니지만 2주간 250불이라는 적립금의 금액으로만 놓고 보면 그렇게 부담스러운 금액은 아닙니다. 적금을 꾸준히 든다고 생각해도 무리 없고, 10년 후 임금 상승/인플레이션 등을 고려할 때 더더욱 작아질 금액입니다.

 

기대수익률의 측면에서 볼 때 보통 NASDAQ100의 과거 수익률을 기준으로 장기투자했을 때 연평균 9.9%의 수익을 볼 수 있다고들 합니다.

 

조금 후하게 다음과 같이 계산을 해봤습니다.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고 대략적인 값만 보겠습니다.

 

https://yaneodoo2.tistory.com/entry/QQQ-vs-SPY-%EC%A0%84%EA%B2%A9%EB%B9%84%EA%B5%90

 

SPY vs. QQQ 비교분석 (S&P500vs.미국나스닥100, 정의, 연평균수익률, 최대하락)

SPY 분석 미장을 대표할 수 있는 ETF를 뽑자면 QQQ와 SPY를 꼽을 수 있습니다. 두 지수는 모두 나스닥을 추종하며, QQQ는 미국 나스닥 상위 100 여 개의 기업을, SPY는 상위 500 여 개의 기업을 추종하고

yaneodoo2.tistory.com

 

2021년 12월 18일까지의 나스닥과 S&P500 의 수익률을 비교한 자료입니다.

2021년으로 한 이유는 2022년 현재까지 자료를 포함하면 연평균 수익률이 많이 낮아져서 특수한 상황을 배제한 10년 후의 기대수익률을 좀 더 정확히 하기 위해서 이 수치를 참고했습니다.

(2022년 최근까지의 자료를 포함하면 나스닥100의 CAGR이 7.85%까지 낮아짐)

 

 

(조건) 투자금 2주마다 250달러, 투자기간 10년, 연평균수익률 9.9%, 양도세/수수료 등 없다고 가정

          2주마다 1.00363 씩(0.00003%) 수익을 기록한다고 가정함.

 

 

이자 계산기를 활용한 수익금 확인 (원을 달러라고 생각해주세요)

 

나스닥100과 S&P500의 기대수익금 백테스트 - Portfolio visualizer

 

나스닥100과 S&P500의 기대수익금 백테스트 - Portfolio visualizer

 

 

정확하지 않고 다소 부정확한 자료일 수 있으나 대세에 큰 지장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520주까지 투자금액 70,000불로 이익금이 대략 51,168불이며 합하면 12만달러 상당의 금액이 됩니다. 

 

 

<여담>

portfolio visualizer 를 이용하면 실제 나스닥의 주가등락 그래프와 함께 백테스트가 가능한데 2022년 하락장을 제외하면 30만불 가까운 금액으로 테스트됩니다.

2022년을 포함하면 최종 금액이 15만불정도로 제가 계산한 값과 비슷한 숫자가 나오는데 이걸로 백테스트를 못하는 이유는 제가 10년을 어디로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결과가 너무 천차만별이라서 그렇습니다.

 

 

아무튼 10년 후에 VR을 하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평가되는 나스닥100에 적립식으로 투입하였을 경우 12~15만불의 금액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결론입니다.

 

 

 

그래서 무엇을 말하고 싶은가?

10년이라는 기간 동안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 다만 저는 VR이라는 방법을 택했고, 비교할 수 있는 투자방법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기만 하면 그만입니다.

 

물론 VR의 최종 목표는 100만불이라 저 또한 목표치가 100만불인 것은 맞습니다. 그렇지만 최종 결과가 50만불, 30만불이 되었다고 실패한 것일까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정말 최악으로 12만불이 나왔다면 실패일까요? 아니면 더 최악으로 7만불 원금그대로 남았다면??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손해인 것은 맞을듯.. ㅎㅎㅎ)

 

아무튼 최악으로 생각했을 때 원금인 70,000불 이상으로만 기대할 수 있다면.. 아니 12만불 이상의 결과를 얻을 수만 있다면 비교적 성공적인 투자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런 점에서 지금 VR의 결과가 좋지는 않지만 나중에는 이를 충분히 만회할 수 있고, 그럴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뭔가 또 조삼모사 같고, 정신승리스러운 글인 것 같지만 저는 이렇게 생각하고 있고 좀 더 만족스럽고 높은 결과치를 위한 이 정도의 위험 감수는 충분히 할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모든 것의 전제조건은 무리하지 않는 투자일 것이며 10년이라는 기간을 계획한 대로 끝까지 해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직 1년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저는 두 가지 조건 크게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 여정을 기록으로 남겨 제 자신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중입니다.

 

라오어님도 강조하는 사항이지만 VR이 절대적인 만능의 방법은 아닙니다. 다만 매수와 매도를 구체화할 수 있고, 시황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지만 강력한 한방을 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얘기가 갑자기 길어졌네요. ㅋㅋ 가끔 저도 (?) 받으면 이렇게 주저리 쓰곤하는데 오늘이 그런 날이네요. 아무튼 열심히 잘해내겠다는 말입니다. ㅋㅋㅋㅋ

 

나머지 늘 공유하는 VR 자료 올리고 글을 급 마무리합니다.

 

 

 

계좌 현황

적립식 VR 58주차 계좌 현황

 

 

 

58주차 정리

58주차 마감 현황

 

 

 

시장지수 비교(누적수익률, 계좌총액)

시장지수 비교(누적수익률, 계좌총액)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