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주의 잡동사니

반응형

무한매수법은 참 묘합니다. 이 이론? 방법?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데 투자기간의 대부분(체감상 80%이상?)이 수익률이 마이너스 구간입니다. 분명히 큰 노력 없이.. 마음 편히 기계적으로 매수/매도를 걸어두는 투자방법인데 멘탈적으로 더 흔들릴만한 요소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저의 성향과는 잘 맞는 투자방법인 것 같습니다. 방법론이 등장한 것이 1년도 채 되지 않아서 세월의 검증이 필요한 부분은 있지만 시장참여자인 '사람'이라는 성향이 역사적으로 변화가 없음을 고려해보면 주식시장의 흐름은 이전과 비슷하게 흘러갈 것이라고 미루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과거의 백테스트 데이터로 미래의 결과를 단언하기는 쉽지 않지만 무한매수법의 큰 두 가지 명제인 시장은 우상향 할 것이다(특히 미국 시장, 미국의 경제 패권)와 아래위로의 변동성과 그로 인한 Cost Averaging(비용 평균??)의 용이함은 계속 반복된다고 생각합니다. 어차피 투자의 본질은 개별종목이든 혹은 시장의 내재가치가 적정 수준으로 오르거나 내린다는 그 믿음이 바탕이므로 무한매수법도 수많은 투자방법 중에 훌륭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단순하면서도 결국에는 시장의 상승을 기대하는 자본주의의 기본 속성이 유지되는 한 잘 작동할테지요. 주저리 사설이 길었습니다만 무한매수법도 투자일지를 꼼꼼히 기록해 두려고 하는 것은 제 스스로 이 방법론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싶고, 어느 때보다 중요한 기계적인(감정을 배제한) 매수/매도가 필요하기에 안정장치로서 글을 남겨둡니다. 꾸준히 기본 원칙을 잘 지켜나갈 수 있도록..

 

 

 

매수/매도 기록

7월 마지막주 매도/매도 기록

 

지난번 매도되었던 NAIL의 시드를 이용해서 TQQQ를 모아가고 있습니다. VR 적립식 투자를 위한 기초자금인 5,000달러를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한번에 사도 되지만 시드가 부족하기도 하고, 다문 한 달이라도 평균 가격으로 매수단가를 가져가고 싶어서입니다. (물론 지금보다 더 오른 평균단가가 될 수도 있겠지만...)

 

7월 마지막주에는 매수가 그렇게 많이 되지 못했습니다. 0.5회차만 진행된 경우도 꽤 있었고, 매수가 아예 이루어지지 않은 날도 있었습니다. 특히 SOXL의 경우는 5% 이상의 수익률과 10% 사이를 오르내리는 구간에 많아서 수량을 많이 모으지 못했습니다. 무한매수법을 하면 두 가지 마음이 동시에 듭니다. 시장이 하락하면 하락할수록 기분이 좋아지는(더 많이 담을 수 있고, 평균단가도 낮출 수 있으므로) 반면에, 충분히 매수를 하지 못했는데 가격이 급격히 올라버리면 아쉬운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

 

이번 주가 딱 그랬습니다. 그리고 3배 레버리지의 변동성을 제대로 느꼈던 날이었습니다.

 

LABU의 종가 및 평단 추이

 

LABU의 그래프를 보면 변화무쌍한 주가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7월 28일에는 10% 이상의 상승을 보이면서 쭉 치고 올라가는 경우도 생기고, 그 이후로 언제 그랬냐는 듯이 다시 아래로 하락하는 것을 종종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도가 안된 것이 아쉽기는 하지만 그만큼 매수는 더 할 수 있으니까 나쁘지 않습니다. 평단은 64.57달러로 시작했지만 어느덧 58.50달러까지 낮춰져 있습니다.

 

7월 30일 SOXL 매도기록

 

저는 보통 매도는 퇴근길에 프리장부터 걸어두는 편입니다. 7월 30일에는 SOXL이 프리장부터 오르는 덕에 빠르게 매도가 일어났습니다. 실제로는 매도단가인 43.95달러보다 더 높은 42달러 이상에서도 가능했지만 원칙을 지키기 위해 딱 10%에 맞는 단가로 매도했습니다. 당장에는 아쉬울 수 있겠지만 모든 것이 다 결과론인 상황이니까요. 결국에는 원칙을 지켜고 변화무쌍한 상황을 차단할수록 좋다는 생각입니다. 그렇다면 무한 매수의 이론적 바탕인 그 수많은 백데이터 자료가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계좌 현황

계좌현황(2021.8.1. 현재)

 

이제 무한매수법은 LABU 하나가 남았습니다. 추가로 더 매수하지 않는 이유는 VR 적립식으로 넘어갈 시드를 확보하는 것이 첫번째입니다. 어짜피 무한매수법은 언제든 시작할 수 있는 방법이라 지금 당장 들어가지 않아서 아쉬운 것은 없기 때문에 차근차근 진행하려고 합니다.

 

LABU는 아직 진행률이 24.9% 밖에 되지 않아서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변동성이 워낙에 커서 하루아침에도 어어~하다가 매도될 수도 있겠죠.

 

매도된 시드를 바탕으로 TQQQ를 모아가고 있습니다. 평균단가가 어떻게 될지 몇 개를 모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기본 시드인 5,000달러를 채울 때까지 무한매수법으로 모아갈 겁니다. 적립식도 기대가 됩니다.

 

SOXL 종가 및 평단 추이

 

TQQQ 종가 및 평단 추이

 

SOXL과 TQQQ의 그래프만 봐도 변동성이 느껴지시나요? 그런데 사람이 참 특이한 게 예전에는 3배 레버리지는커녕 2배 레버리지도 절대 하면 안 되겠다.. 이거 어떻게 하나??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히안하게 이제는 이 그래프도 그냥 종목 하나의 그래프로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위험한가요? ㅋㅋ)

 

변동성이 아래위로 좀 클 뿐이지 하나의 종목으로 생각하면 또 그 자체로 하나의 단순한 그래프(?)가 아닐는지? 그래도 참 변동이 심하긴 합니다.

 

 

 

7월 손익 현황

7월 손익현황

 

시드 확보를 위한 애플의 매도 수익이 있어서 같이 섞여서 표현되었지만 NAIL과 SOXL의 손익 금액 합계는 228.02달러입니다. 평균적으로 월 수익률 기대치가 2% 안쪽이라고 하니 뭐 얼추 맞는 것 같기도 합니다. 평균은 평균일 뿐 분명히 10% 안쪽의 마이너스 수익률이라 소절을 하는 경우도 생길 테니 마음 단단히 먹고 8월도 잘 진행해봐야겠습니다.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